서울대는 매년 3300명의 학생을 뽑습니다. 반면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3년에 한 번 33명을 뽑아 엄청난 공부를 해야만 가능했습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경쟁률을 뚫어야 하는데요 그 시절 공무원이 되기가 지금의 사법고시 시험보다도 더 힘들었다니 정말 부자들이 아니고야 생계가 걸려있는 평민이 과거를 통해 출세한다는 건 바늘구멍에 낙타가 통과할 확률인 거 같습니다. 그런데 이런 과거를 9번이나 장원급제한 이가 있으니 우리가 모두 아는 율곡 이이입니다.
조선에서 출세하기 위한 과거시험 경쟁률
조선은 태조 2년인 1393년부터 고종 때인 1894년까지 모두 804번의 문과가 치러졌고, 모두 15,137명이 뽑혔습니다.
아니, 501년 동안 치뤄진 시험 횟수로 따지면 너무 적은 수이긴 하겠지만 매년 치러지는 시험이 아니었기에 그만큼 살인적인 경쟁률 및 합격률을 자랑하는 시험이었습니다.심지어 1794년의 시험에는 23,900명이 응시했고 10,568명이 답안지를 제출했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시험을 보고 하루 만에 시험 결과가 나와야 하니 채점이 되는 것은 고작 몇 백장 남짓, 아무리 실력이 좋아도 빨리 답안지를 내지 못하면 채점도 못 받고 낙방해야 했습니다. 정말 장원급제하기가 하늘에 별따기보다 어려웠던 게 맞는 거 같습니다. 사법고시 떨어져 삼수를 넘어 사수오수.. 하며 10년 이상 공부만 하는 지금 우리의 현실과 비교해 보면 빠르게 이해가 될 듯한데 그만큼 조선시대도 힘들게 출세길에 오르려 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거 같습니다.
과거의 꽃은 문과, 곧 인문계였습니다. 한자와 논술에 능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급제해야만 양반으로 신분을 인정받고 온갖 부귀영화와 권력을 누릴 수 있었는데 문과는 여러 단계가 있었습니다.
소과만 합격해도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거나 하급 관리가 될 수 있었지만, 제대로 출세하려면 반드시 대과를 통과해야 했습니다. 대과시험의 최고봉은 전시. 이 중에서 갑과가 되면 LTE급 출세가 보장되었습니다. 그리고 과거는 지금의 공무원 채용과 달리 1년이 아닌 3년에 한 번 치러졌습니다. 게다가 응시 나이에 제한이 없었기에 10대의 아이에서부터 90대의 노인까지 모두 도전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때로는 한 시험에 600~1000명이 모여들기도 했습니다.
9번이나 장원급제한 율곡 이이
5000원권 모델인 율곡이이는 과거시험에 9번이나 장원급제해 구도장원공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문과의 단계는 생진초시 -생진복시- 문과초시-문과복시-문과전시로 나뉘며 전시에 합격해야 과거합격이라고 하는데 전시는 임금 앞에서 보는 시험으로 합격자를 선발하여 등급을 결정했다고 합니다. 이런 한 장원급제를 이이는 13세에 소과 진사과 초시 장원 / 21세 소과 진사과 복시장원 / 23세 특별시 별시장원 /29세 장원 6번 합격 1번 ( 소과 생원과 최시 장원/ 소과 생원과 복시 장원/소과 진사과 초시 장원/소과 진사과 복시 합격/ 대과 초시 장원/대과 복시 장원/대과 전시 장원 ) 총 9번이나 장원급제한 공부 천재이다. 요즘 시대로 비교하면 사법고시 외무고시 행정고시의 수석을 싹쓸이한 것인데 덕분에 어머님 신사임당의 교육법이 주목받기도 하였다. 율곡 이이는 한 번만 보면 다 기억하는 진짜 천재였을까? 성혼에게 보낸 편지에 보면 " 나도 책을 수십번 읽어야 외워지는데 왜 다들 내가 한번만 보면 외워지는 줄 아는 거야? "라는 대목에서 그가 얼마나 노력했던 것인지 알 수 있다. 과거시험이란 조선시대 선비들에게는 유일한 꿈과 희망이었다. 지금이야 출세할 수 있는 길은 많다. 유튜버. 프로게이머. 아이돌. 의사. 판사등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유일하게 장원급제만이 출세 길었기에 그렇게 목숨 걸고 공부에 매진했던 게 아닐까 한다.
세종시절 과거시험 문제
세종 9년 (1427 정미년 ) 3월 문과 시험 인정전 - 1. 공법을 사용하면서 이른바 좋지 못한 점을 고치려고 한다면 그 방법은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 2. 각 지역에서 납부할 공부(공물)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성. 보관하겠는가?
세종 11년 (1429 기유년) 4월 근정전 - 1. 불합리한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하여 논하라 2. 고소고발 사건에 대하여 운만 한 처리 방법에 대하여 논하라
세종 16년 (1434 갑인년) 3월 명륜당- 1. 윤대(문무 신하들이 돌아가며 면담하는 것 )를 행할 경우 신하들 간에 서로 이간질하는 것을 막을 방법은? 2. 혼인 시에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들어가는 풍습(데릴사위)을 고칠 방법은 무엇인가? 3. 풍문 탄핵의 폐단을 막을 방법은 무엇인가? ( 풍문탄핵: 각 지역의 소문만으로 해당 고을의 관리를 조사하게 하는 것 )
세종 17년 (1435 을묘년) 4월 문과 근정전 - 1. 효율적인 인재 양성 방법은? 2. 호구의 법을 어떻게 개선하여 병농이 생각한 바와 잘되고 사졸이 정련이 될 수 있는가? 3. 우리나라의 노비제도가 중국과 다른 특성과 효율적인 관리 방법을 논하라.
세종 18년 (1436 병진년) 4월 문신+유생 근정전 - 1. 조선(조상)을 높이고 종친을 공경하고 종자의 법을 세우며 장유의 차례를 알게 하여 향음의 예를 행할 방법은? 2.문인들이 활쏘기 투호 등을 통하여 건전한 정신수양을 하게 하는 방법은 ?
3. 북쪽의 오랑캐와 남쪽의 왜구들을 제어하는 방법은?
지식보다는 지혜를 요하는 문제들이 많은 거 보면 지금 국영수중심의 인재양성이 아니라 모든 분야 지식을 습득하고 이것을 잘 녹여낼 수 있는 인재를 찾고자 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