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열차분야지도」는 조선 건국 직후인 1395년(태조 4)에 석판에 새긴 천문도이다. 명칭을 보면, 천상 은 천문 현상으로 해·달·별의 변화를 나타낸다. 열차는 동양의 별자리인 12차(次)를 벌여 놓았다는 뜻인데, 12차는 목성의 운행을 기준으로 설정한 적도 부근의 12 구역을 이른다. 분야는 하늘의 별자리를 지상의 해당 지역과 대응시킨 것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천상열차분야지도」는 하늘의 모습을 새긴 그림으로, 하늘 별자리와 땅의 지리를 결부시킨 내용을 담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석각본은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1395년(태조 4)에 석각된 것이고(국보 제228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또 하나는 1687년(숙종 13)에 다시 새겨진 것이다(보물 837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돌에 새겨졌기 때문에 「석각천문도(石刻天文圖)」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천상열차분야지도란?
천상열차분야지도의 형태는 별자리 그림을 중심으로 주변에 해·달·사방신에 대한 간략한 설명, 주관하는 각도, 각 절기별 해가 뜨고 질 때 남중하는 별자리가 설명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당시의 우주관, 측정된 28수의 거 극도 및 각도, 천문도의 내력, 참여한 서운관 관리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별자리 그림은 큰 원 안에 하늘의 적도와 황도를 나타내는 교차하는 중간 원을 그리고, 그 내부에 계절에 상관없이 항상 보이는 별들을 표시하는 중앙의 작은 원, 그 위에 각 분야별로 1467개의 별들이 283개의 별자리를 이루어 밝기에 따라 다른 크기로 그려져 있다. 그 위에 은하수가 그 모양대로 그려져 있으며, 큰 원의 가장자리를 따라 365개의 주천도수눈금, 각 방향을 대표하는 12지, 각 땅을 대표하는 분야(分野), 황도 12궁 이 표시되어 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성도는 중국 한(漢)의 무제(武帝) 때의 관측에 기반하여 이전의 천문학파들인 무함(巫咸), 감덕(甘德), 석신(石申)의 별자리를 망라한 삼가성경(三家星經) 체계를 따르고 있다. 또한 성도의 중심은 천구의 북극이 되는데 그 위치에 북극오성(北極五星)의 한 별인 천추성(天樞星)을 두고 있다. 천추성은 중국의 한나라 시대에 북극성이었으므로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성도는 한나라 때의 천문도 체계를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중국의 천문도는 북위 35도 정도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는데,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적도원과 전몰성원(외규)은 북위 35도 정도를 기준으로 그려졌지만 주극원(내규)은 북위 39도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그려졌다. 그러므로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중국의 성도를 바탕으로 그 별자리는 수정하지 않고 다만 관측지의 위도를 고려하여 주극원의 반지름을 조정한 것이다.
태조 석각본과 숙종 석각본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설명하는 글의 배치만 다를 뿐 거의 동일하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상징성
태조 이성계가 쿠데타를 일으켜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세운지 4년, 그 당시의 정세는 설명하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태조는 권근 외 11명의 학자를 불러 천문도를 만들라는 어명을 내린다. 이유는 바로 자신은 하늘의 뜻을 소중히 받드는 사람이며 따라서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한 것도 다 하늘의 뜻이었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함이라 추측된다. 즉 새 왕조의 정통성을 성립하기 위한 명분을 만든 것이다.
첫째, 조선이 하늘의 뜻인 천명으로 개국했음을 만천하에 알리기 위함이다. 힘으로 찬탈한 정권이 아님을 밝힌 것이다.
둘째, 성리학의 근본인 경천근민(敬天勤民) 사상을 다짐한다. 하늘의 뜻을 공경하고 백성을 보살피는 일에 전념하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셋째, 규칙적인 천상의 움직임을 수시로 관측해 때와 시를 받아 백성들에게 알려 생활의 규칙을 정하겠다는 관상수시(觀象授時)의 생각이다.
넷째, 상시 하늘을 관측해 각종 천문 현상을 살펴 하늘의 의지, 천심을 알아보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늘의 뜻을 어김없이 받들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이 내용만 본다면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성리학자와 천문학자 중심으로 상징성만 강조해 만든 상징물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나 자세하게 연구해 보면 과학적 지식을 바탕에 두고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 수록 내용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수록한 내용을 알아본다. 천문도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별자리 그림 부분인 천문도와 이의 해설문인 도해(圖解) 부분이다.
천문도는 전통적인 중국의 우주관인 삼원이십팔수(三垣二十八宿)에 따라 하늘을 구분해 총 1,467개의 별이 새겨져 있다. 원반형 천문도 중심은 천구의 북극이다. 중심에 있는 별자리가 자미원으로 하늘의 황제가 거처하는 곳이다. 주위의 태미원은 황제의 신하가 사는 곳, 천시원은 백성이 사는 곳이다. 방사선 모양으로 하늘을 28개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를 이 십팔수라 한다. 천문도 안에는 4개의 원이 그려져 있다. 중앙의 작은 원은 내규로 한양에서 일 년 내내 볼 수 있는 주극성 영역이다. 내규 밖으로 서로 엇갈린 두 개의 원은 하늘의 적도와 태양이 일 년 동안 운행하는 황도다. 황도 위를 운행하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계절을 알 수 있다. 가장자리 원은 외규로 조선의 한양에서 볼 수 있는 모든 별의 한계를 표시한 것이다.
도해의 중심 내용은 24절기 날짜에 따라 초저녁과 새벽에 남중하는 별자리를 계산해 표로 만들었다. 이를 계산한 사람은 류방택이다. 하늘의 세계와 땅의 세계를 대비하기 위해 12개의 영역을 하늘의 영역과 땅의 영역으로 지명과 함께 열거했다. 또 28수의 중심이 되는 별, 수거성의 동서방향 각도인 수거도 값과 북극까지의 각도인 거 극도 값을 표시하고 있다. 이것은 현대의 별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과 거의 같다. 당시 조선 유학자들이 알고 있었던 우주 모습인 우주론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했는데 이는 서양의 지구중심설과 비슷한 우주관의 모습이다.
도해의 아랫부분에는 천문도 제작에 이바지한 12명을 직책과 함께 정확하게 기록했다. 천문도를 제작한 태조의 의지와 목표를 알리고 한 백성이 천문도의 인본을 바친 계기와 원본이 전란 중에 강물에 빠진 고구려 천문도임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천문도가 고구려 시대 이전부터 내려오던 우리 고유의 것임을 알 수 있다.
도설에서 특이한 점은 하늘을 12개 영역으로 구분하면서 서양의 황도12궁을 병기한 것이다. 당시 중국의 천문도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다. 어떠한 경로로 교류했는지 확인은 어려우나 이미 서양과의 학문 교류가 있었다는 증빙이기도 하다.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단순히 전통 천문학의 상징물로만 여기는 것은 곤란하다. 제작 당시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있을 뿐 아니라 천문 현상과 관련해 우리 조상이 이룩한 중요한 과학적 내용까지 담고 있기 때문이다. 세종대왕이 독자적으로 제작한 것은 아니지만 천상열차분야지도 재제작과 칠정산 편찬 등을 통해 조선 시대 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기에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떠올리면 세종이 거론되는 게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