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

[조선] 훈민정음에서 사라진 네글자 아래아.반치음.옛이응.여린히읗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28글자였으나 지금은 24글자만 사용되고 있다. 1933년 "한국 맞춤법 통일안"에 의해 사라진 아래아(ㆍ), 반치음(ㅿ), 옛이응(ㆁ), 여린히읗(ㆆ)에 대해 알아본다. 표기에서는 사라졌지만 지금도 우리는 발음하고 있고 사용하고 있는 4글자가 사라지지 않았다면 글로벌 시대에 외국어를 더 정확하게 한글로 표현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많은 관계자들이 말한다. 세종대왕은 이렇게 완벽한 글자를 만들었던 것이다. 제일먼저 사라진 아 래아(ㆍ) ㆍ 음은 ㅏ와 ㅗ의 중간발음이다. 공식적으로는 네 글자 중 가장 먼저 사라진 글자이다. 아래아는 1717세기말까지 쓰였기 때문에 사라진 옛글자 중 가장 오래 사용되었다. 또한 사라진 글자 중 유일한 모음으로 사라진 글자 가운데 모음조화 등 우리말.. 2025. 7. 7.
[조선] 기본자 .가획자.이체자 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 민족은 일찍분터 우리 글자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문자를 만들려면 우선 말의 소리 즉 음운에 대한 이론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은 훈민정음을 만들기 전에 문자체계의 바탕이 되는 음운을 미리 마련해 놓았다.음운의 이론중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 기본자는 상형의 원리에 따라 만들다 우선 우리가 한글을 배울때 순서인 기역 니은 디귿 ㄱㄴㄷㄹㅁㅂ ㅅㅇ~~ 은 잊어버리자.이것은 7종성법으로 받침으로 소리나는 자음을 나열하고 뒤에 거센소리들을 붙인것이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80년이 지난뒤 한 학자가 만들었다.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백성이 쉽게 익히기 위해 써 놓은 해례본과는 무관하다 .우리는 상형의 원리에 따라 기본글자인 ㄱ,ㄴ,ㅁ,ㅅ,ㅇ부터 익힌다.. 2025. 7. 6.
[조선] 훈민정음 해례본과 구성 (본문 ,주석,정인지 서문 ) 발견된 간송본과 상주본의 이야기 오늘날 한글이 세계 최고의 문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훈민정음의 창제목적, 창제배경, 자음 및 모음이 만들어진 원리, 발음과 활용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한 해례본(解例本)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언어와 문자에 있어서 이런 설명서가 있는 문자는 전 세계에서 한글이 유일하다.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해례본》은 예의, 해례, 정인지 서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의 편(例義)은 훈민정음 창제목적을 밝힌 어제 서문과 새 글자의 음가, 운용법을 설명한 예의로 구성되어 있다. 해례(解例) 부분에는 제자원리, 제자기준, 자음체계, 모음체계, 음상 등에 대해 설명한 제자해(制字解), 초성에 대해 설명한 초성해(初聲解), 중성에 대한 설명과 중성글자의 합용법을 제시한 중성해(中聲解), 종성의 본질과 사성.. 2025. 7. 5.
[조선] 훈민정음 창제 취지와 역사 그리고 훈민정음이 한글이 된 이야기 한글이 없었다면?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지 않았다면 아마 우리는 아직도 어렵고 복잡한 한자를 빌어 쓰며 살아가고 있었을 것이다. 훈민정음의 주요 내용을 보면 1 제자해 (制字解): 자음과 모음의 제자 원리를 설명 2 초성해 (初聲解), 중성해 (中聲解), 종성해 (終聲解): 각각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받침)의 음가와 사용법을 설명 3. 합자해 (合字解): 초성, 중성, 종성이 결합하여 음절을 이루는 원리를 설명 4. 용자례 (用字例): 단어 표기 예를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차근차근 상세하게 알아보겠다. 훈민정음이 한글이 된 이야기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문자의 명칭이자 창제원리와 사용법등을 해설해 놓은 책의 제목이기도 하며 한글의 옛 이름(첫 이름 )이다. 세종 25년.. 2025. 7. 5.
[조선] 세종의 업적 훈민정음 창제 와 과학기술로 농업을 발전시킨 백성의 왕 세종대왕은 백성을 주인으로 여기는 민본주의와 그 백성을 아끼는 마음의 애민정치를 하였으며, 과학, 의학, 음악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중요시하였고 훈민정음 창제, 측우기, 농사직설을 통해 백성들의 편안한 삶과 농업기술 발달에 큰 기여를 하였다. 또한 신하들과 소통하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진정한 리더의 모습을 보였으며 나라의 모든 분야를 균형 있게 중요시하며 돌보았다고 한다. 이러한 가치관 덕분에 조선시대 최고의 성군으로 후대까지 칭송받고 있는 이유이지 않을까 한다. 훈민정음창제 가르칠 (훈) 백성(민 ) 바를(정) 소리(음 ) : 훈민정음//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 담겨져 있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인데 여기서 중요한것은 훈인이 아니라 훈민이라는 점이다. 한.. 2025. 7. 4.
[조선] 세종도 신임했던 정치적 동반자 소헌왕후의 탄생 및 가슴아픈 아버지 심온의 죽음 세종대왕의 업적은 수많은 역사 기록으로 쉽게 알 수 있지만 소헌왕후의 존재는 잘 언급되지 않는다. 세종이 좋은 왕으로 남을 수 있었던 데는 그 옆에서 묵묵히 조력자의 역할을 잘 해내며 남편의 치부조차 이해하며 포용해 준 소헌왕후의 희생 덕분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역사의 한편에 있는 소헌왕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소헌왕후의 탄생 심덕부의 아들 심온과 (순흥 안 씨 가문) 안천보의 딸 사이에서 1395년 10월 30일 경기도 양주목 심온 사저 ( 지금의 양주시)에서 태어났다. 소헌왕후의 친할아버지 심덕부는 고려말 문하시중이었는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도와 조선의 개국공신이 된 인물이며 삼촌 심종은 이방원의 왕자의 난을 도와 태종의 왕위 계승에 도움이 된 인물이다. 소헌왕후는 어린 시절 .. 2025.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