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희안은 조선 세종 시대에 활동한 집현전 학자이자 문신, 서예가, 화가, 시인입니다. 그는 학문뿐만 아니라 예술 분야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여 '삼절(三絶: 시, 서, 화에 모두 뛰어난 재능을 보인사람 )'로 불렸습니다. 특히, 그의 저서인 양화소록은 조선 최초의 전문 화훼서로 평가받으며, 일본 원예학에도 영향을 미친 집현전 학자 강희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희안의 출생 및 관직생활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화가이며 1418년에 태어났으며 본관은 진주, 자는 경우(景愚), 호는 인재(仁齋)이다. 심온의 외손자이자 소헌왕후의 조카이며 즉 이모부가 세종대왕이었다. 자연스레 문종ㆍ세조 등 소헌왕후 소생들과는 내-외종 관계였으며 노사신과는 이종사촌 관계였다. 동생 강희맹(1424) 역시 형과 마찬가지..

집현전 학자 중에 한 사람으로 훈민정음창제에 참여했으며 용비어천가를 주해 (본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하는 것 )하였습니다. 계유정난 때 공을 세워 1등 정난공신이 되었으며 공조판서까지 또 세조 때 영의정까지 오른 최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최항의 출생 및 세종의 꿈 최항은 1409년에 경기도 통진현 (현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학운리 삭시마을) 에서 태어났으며 제33대 영의정을 지낸 조선의 문신이자 집현전 학사 출신 학자이다. 자는 정보, 호는 태허정·동량, 시호는 문충. 문정이며, 본관은 삭녕이다. 아버지는 증 영의정 최사유이며 어머니는 오섭충의 딸이다. 최항의 할아버지는 최윤문이며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즉 증조부가 최충이다. 해동공자라는 별칭으로 널리 알려진 최충은 고려전기 문벌귀족..

조선 초기의 문신, 학자로서 세종 때는 기술관료로서 해례 등 문화와 과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관료였으나 세종 사후에는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에 동조하며 훈구파의 중추로 권력을 누린 권신으로 변모한 인물이고 후배 신숙주와 같은 행보를 걸은 인물입니다. 오늘은 이런 정인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인지 출생및 관직생활 1397년 2월 4일 ( 태조 5년 12월 28일 을시)에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석성현감(현재의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을 지낸 정흥인 입니다. 정흥인이 내직별감에 있을 때 도교의 신을 제사 지내는 사당인 소격전에 들어가 "집안을 일으킬 아들을 낳게 해 달라"라고 빌었고 얼마 뒤에 아내 진 씨가 낳은 아들이 바로 정인지였다. 어찌나 총명했는지 기록에 의하면 5세 때 이미 글을 ..

신숙주는 조선 초기의 빼어난 문인, 학자, 정치가였다. 세종 때부터 성종 때까지 활약한 그의 생애를 훑어보면, 학술, 문화와 정치, 외교의 중심에 위치했던 그의 존재를 확인하게 된다. 조선이 경국대전 체제를 통해유교국가를 완성시키고, 정제된 양반 문화를 꽃피우는 데 그는 매우 중요한 구실을 했는데 오늘은 신숙주의 업적 외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다. 집현전 학자 신숙주의 출생 신숙주는 태종 17년(1417) 6월 20일에 전라도 나주목 금안리 오룡동(현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반송마을)에서 아버지 신장과 어머니 나주 정씨 지성주사(知成州事) 정유(鄭有)의 딸 사이의 5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태종의 과거 동기이자 공조참의를 지낸 신포시, 할머니..

조선 전기의 학자이자 관리로, 집현전 학사로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했으며, 사육신 중 한 명이기도 합니다. 그는 세종대왕의 총애를 받으며 집현전에서 활동했고,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하여 처형되었습니다. 오늘은 이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집현전 학자 이개의 출생 1417년(태종 17)에 태어나 1456년(세조 2)에 사망했다. 본관은 한산. 자는 청보· 백고, 호는 백옥헌(白玉軒) 이며 이개는 제6대 왕 단종을 위해 사절한 사육신의 한 사람이자, 이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중추원사 이종선이다. 아버지는 이계주이며, 어머니는 진명례의 딸이다. 토정비결의 저자 토정 이지함 은 그의 종증손이고, 조선 중기의 동인, 북인의 당수 아계 이산해 는 그의 종현손이 된다. 집안 내력으로 이개는..

성미가 과묵하고 공손했으며, 항상 집현전에서 경연에 왕을 모시면서 학문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는 품성이 강직해 대사간의 직분으로 권세에 굴하지 않고 직언을 서슴지 않았다고 전해지는데 문종 초기 왕이 병약하고 힘이 없자 권력을 농단하는 대신들의 월권행위와 실정, 부패행위 등을 적극적으로 공격, 비토 하다가 대신들과 문종으로부터 반격을 받았으나 승지 정이한과 정창손 등의 비호로 무사하기도 하였다. 오늘은 이런 하위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집현전 학자 하위지의 출생 1412년 경상도 선산군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에서 태어났다 출생 연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추정으로 전해지고 있다.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하담(河澹)이고, 어머니는 유면(兪勉)의 딸이다. 증조부는 하윤(河胤), 할아버지는 문하..